About: dbkwik:resource/Uw-WZTnMHTT3i8UnT31k7g==   Sponge Permalink

An Entity of Type : owl:Thing, within Data Space : dbkwik.org associated with source dataset(s)

AttributesValues
rdfs:label
  • 생소필 낱자
rdfs:comment
  • 생소필 낱자 생소필 낱자 또는 자모(子母)는 생소필 한글의 닿소리와 홀소리를 같이 이르는 말이다. 훈민정음이 지어졌을 때에는 모두 28자와 중국의 잇소리를 쓰기 위한 글자 10개가 있었다. 1527년에 쓰여진 훈몽자회에서는 ㆆ(여린히읗)이 빠지고,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서는 ㆁ(옛이응), ㅿ(반시옷/반시읏), ㆍ(아래아)가 빠졌다. 지금은 다음 24자가 쓰인다.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생소필은 외래의 자음 다섯, v(V),f(F),Γ(R),q(Q),丁(J)과 복모음으로 분류된 모음 네가지 ㅐ,ㅒ,ㅔ,ㅖ 의 생소필 h, ɦ, ·†, ‡ 을 추가한다. ㄱ, ㄴ, ㄷ, 乙, ㄇ , ㄩ, ん, 略/ㅇ, Z, 之, ㅋ, 七, ⊅, ∂, v,f,Γ,~,丁 ·-, ·=, ·ㄱ, ·ㅋ, 亅 ,儿 , +, 卄, 略/_ , i , h, ɦ, ·†, ‡
dcterms:subject
dbkwik:ko.history/...iPageUsesTemplate
abstract
  • 생소필 낱자 생소필 낱자 또는 자모(子母)는 생소필 한글의 닿소리와 홀소리를 같이 이르는 말이다. 훈민정음이 지어졌을 때에는 모두 28자와 중국의 잇소리를 쓰기 위한 글자 10개가 있었다. 1527년에 쓰여진 훈몽자회에서는 ㆆ(여린히읗)이 빠지고,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서는 ㆁ(옛이응), ㅿ(반시옷/반시읏), ㆍ(아래아)가 빠졌다. 지금은 다음 24자가 쓰인다.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생소필은 외래의 자음 다섯, v(V),f(F),Γ(R),q(Q),丁(J)과 복모음으로 분류된 모음 네가지 ㅐ,ㅒ,ㅔ,ㅖ 의 생소필 h, ɦ, ·†, ‡ 을 추가한다. ㄱ, ㄴ, ㄷ, 乙, ㄇ , ㄩ, ん, 略/ㅇ, Z, 之, ㅋ, 七, ⊅, ∂, v,f,Γ,~,丁 ·-, ·=, ·ㄱ, ·ㅋ, 亅 ,儿 , +, 卄, 略/_ , i , h, ɦ, ·†, ‡ 일반적으로 한 낱자는 한 소리를 나타내고, 두 낱자를 합쳐서(한글 겹낱자) 다른 소리를 나타낸다. 단, 음성학적으로는 거센소리 之, ㅋ, t, ⊅는 각각 Z, ㄱ, ㄷ, ㄩ과 ∂이 합쳐진 겹닿소리이며, ·=, ·ㅋ, ιι, ++(ㄲ 수선대칭), ɦ, ‡ 는 이중 모음이다.
Alternative Linked Data Views: ODE     Raw Data in: CXML | CSV | RDF ( N-Triples N3/Turtle JSON XML ) | OData ( Atom JSON ) | Microdata ( JSON HTML) | JSON-LD    About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W3C Semantic Web Technology [RDF Data] Valid XHTML + RDFa
OpenLink Virtuoso version 07.20.3217, on Linux (x86_64-pc-linux-gnu), Standard Edition
Data on this page belongs to its respective rights holders.
Virtuoso Faceted Browser Copyright © 2009-2012 OpenLink Soft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