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dbkwik:resource/6SHu5U5_A8em-Soo9PKMPA==   Sponge Permalink

An Entity of Type : owl:Thing, within Data Space : dbkwik.org associated with source dataset(s)

AttributesValues
rdfs:label
  • 테티스 (위성)
rdfs:comment
  • 테티스는 그리스 신화의 거신족 테튀스의 이름을 따왔다. 다른 이름으로 토성 III 또는 S III 테티스로 읽기도 한다. 카시니는 1671년부터 1684년에 걸쳐 발견한 4개의 위성(테티스, 디오네, 레아, 이아페투스)를 당시 프랑스 왕이었던 루이 14세에게 경의를 표하는 의미에서 '루이의 별들'로 이름을 붙였다. 17세기 말에 이르러 천문학자들은 이들을 관습적으로 토성 I, 토성 II...토성 V(테티스, 디오네, 레아, 티탄, 이아페투스)로 부르게 되었다. 1789년 미마스와 엔셀라두스가 발견되자 로마 숫자는 V에 둘을 더한 VII까지 늘어났다. 1848년 히페리온이 발견되면서 이아페투스의 이름은 토성 VIII로 바뀌었다. 이후 로마 숫자 명칭은 바뀌지 않고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토성의 위성 7개의 이름은 존 허셜(미마스와 엔셀라두스를 발견한 윌리엄 허셜의 아들)이 1847년 자신의 책 '희망봉에서 작성된 천문 관측 결과'에서 언급한 것이다. 이 책에서 허셜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크로노스의 딸과 형제들인, 티탄족 이름을 위성들에 붙였다.
dcterms:subject
dbkwik:ko.gravity/...iPageUsesTemplate
abstract
  • 테티스는 그리스 신화의 거신족 테튀스의 이름을 따왔다. 다른 이름으로 토성 III 또는 S III 테티스로 읽기도 한다. 카시니는 1671년부터 1684년에 걸쳐 발견한 4개의 위성(테티스, 디오네, 레아, 이아페투스)를 당시 프랑스 왕이었던 루이 14세에게 경의를 표하는 의미에서 '루이의 별들'로 이름을 붙였다. 17세기 말에 이르러 천문학자들은 이들을 관습적으로 토성 I, 토성 II...토성 V(테티스, 디오네, 레아, 티탄, 이아페투스)로 부르게 되었다. 1789년 미마스와 엔셀라두스가 발견되자 로마 숫자는 V에 둘을 더한 VII까지 늘어났다. 1848년 히페리온이 발견되면서 이아페투스의 이름은 토성 VIII로 바뀌었다. 이후 로마 숫자 명칭은 바뀌지 않고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토성의 위성 7개의 이름은 존 허셜(미마스와 엔셀라두스를 발견한 윌리엄 허셜의 아들)이 1847년 자신의 책 '희망봉에서 작성된 천문 관측 결과'에서 언급한 것이다. 이 책에서 허셜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크로노스의 딸과 형제들인, 티탄족 이름을 위성들에 붙였다.
Alternative Linked Data Views: ODE     Raw Data in: CXML | CSV | RDF ( N-Triples N3/Turtle JSON XML ) | OData ( Atom JSON ) | Microdata ( JSON HTML) | JSON-LD    About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W3C Semantic Web Technology [RDF Data] Valid XHTML + RDFa
OpenLink Virtuoso version 07.20.3217, on Linux (x86_64-pc-linux-gnu), Standard Edition
Data on this page belongs to its respective rights holders.
Virtuoso Faceted Browser Copyright © 2009-2012 OpenLink Software